본문 바로가기
  • 정긍정쓰 일상로그:)
임신 출산 육아

임신 26주차, 임산부 목감기 코감기 증상, 감기약 타이레놀 코세척 소금가글

by 정긍정쓰 2023. 3. 1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긍정쓰 일상로그입니다:)

1주일 전 가습기를 세척한다고

하루 넘게 안틀었더니

날씨가 급 건조해지면서 목이 따갑더라구요.

 

목이 건조하면서 따갑더니

목감기에서 코감기로 이어졌어요.ㅠㅠ

원래 기관지도 약하고 비염이 있어서

목감기 오면 코감기도 바로 오는데

아니나다를까 ㅠ

콧물이 점점 많이 나더라구요.

 

 

 

반응형

 

 

 

저는 목감기 코감기 같이 오면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데

혹시나 심해지면서 열이 날까봐

산부인과에 먼저 문의를 했어요.

 

산부인과에서는 감기가 심하면

일단 이비인후과에 가보고

의사가 약 처방이 어렵다고 하면

산부인과로 오라고 하더라구요.

 

전에 임신  4~5개월 쯤

코로나 걸렸을 때도 약을 못먹으니

목이랑 코, 두통 증상으로

2주 넘게 고생한 게 생각났어요.

 

 

 

 

임산부 코로나 확진 양성 임신 16주

안녕하세요, 정긍정쓰 일상 로그입니다:) 이제 임신 4개월이 지나면서 안정기가 되어서 하루하루, 매주 달라지는 기분과 몸상태를 기록하기 위해 임신일기(?)처럼 일상로그해보려고 합니다ㅎㅎ

jeongpositive.tistory.com

 

 

 

감기 걸리면 약을 못먹고

열이 나면 위험하니 조심하고

독감접종도 했는데 감기에 걸려버렸어요.

 

처음에 목이 따갑고 나서부터

콧물이 점점 많아지고

코도 막히고 두통도 오고

잠 잘 때 힘들어서

결국 이비인후과에 다녀왔어요.

 

다행히 열은 나지 않았는데

이비인후과에서도 열 체크하니

열은 없다고 하셨어요.

 

열 날까봐 제일 걱정했는데

그나마 안심...ㅎㅎㅎ

목이랑 코, 귀를 살펴보시더니

의사 선생님이 감기라고 하시더라구요.

 

 

 

임신 26주차라 말씀드리니

임산부에 맞춰 감기약 처방을 해줄수는 있는데

아무래도 약이 대부분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이 된 거라 임신 때 약복용 시

임산부와 태아에게 어떻게 미칠지는

100% 안전하다 장담할 수 없다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많은 임산부들이 될 수 있으면

약은 안먹고 참으려고 하는)

 

저도 일단 진료부터 받아보고

열 나는게 아니면

약은 최대한 안먹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의사 선생님이 말씀을 들으니

더욱더 약은 최대한 참아야겠더라구요.

 

일단 임산부 감기약 처방을 받았는데,

조만간 산부인과에 임신당뇨 재검하러

가기 때문에 그 때까지 참았다가

감기 증상이 너무 심하면

산부인과 진료받을 때 원장님께

처방받은 약 물어보고 먹으려구요!

 

 

 

 

 

 

임산부 감기약으로 받아 온

처방전이에요.

목감기, 코감기, 두통에 먹는 약을

처방 받았는데

알약 두가지와 짜먹는 시럽약.

 

 

 

 

 

 

길다란 타원형의 흰색 알약은

써스펜8시간이알서방정으로

타이레놀 같은 해열진통제로

열을 내리고 통증을 줄여준다고 해요.

 

써스펜8시간이알서방정이

어떤 약인지 검색해보니

임산부나 수유부는 의사나 약사와

상의하라고 되어 있었어요.

 

 

 

 

 

 

연한 노란색의 동그란 알약은

페니라민정으로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질환, 감기,

가려움 증상을 완하시켜 준다고 해요.

 

페니라민정도 검색해보니

비염이나 코감기로 인한 재채기,

콧물, 기침 등에 효과가 있는데

역시 임산부나 수유부는

페니라민정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약사와 상의하라고 되어 있었어요.

 

짜먹는 시럽약은

프리비투스현탁액은

기관지 질환에 의한 기침을

완화시켜준다고 해요.

 

 

 

 

 

 

프리비투스현탁액을 검색해보니

바나나향이 나는 현탁액으로

기침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어요.

역시나 임산부 및 수유부에 대한

사용상 주의사항이 나와 있었어요.

 

 

당연히 의사와 상담 후에

복용하라 되어 있고

임신초기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임신 후기에는 의사의 지시에 의해

필요시 복용하라고 되어 있어요.

 

 

 

 

 

 

임신 중 임산부 감기약 복용은

감기약 복용 시 주의사항을 알아보니

아무래도 열이 나거나

정말 심한게 아니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그래서 임산부가 감기약을 먹지 않고

최대한 버틸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다 써보려구요.

 

축농증 비염으로 한번씩 사용하던

노즈스위퍼로 코가 많이 막힐 때

코세척 한번씩 해주면

안쪽까지 막혔던 코가 세척되서

진짜 시원하고 개운해요!

 

 

 

 

 

 

실내 기온은 적정 온도로

계속 유지 되는 것을 확인하고

가습기도 계속 틀어놓고

실내습도를 40~60%가 유지되게 했어요.

 

그리고 따뜻한 물도 자주 마시고

영양제도 계속 챙겨먹고

충분한 운동과 휴식도 취했어요.

 

그리고 목이 건조하거나

가래가 생길 때마다

굵은 소금과 미지근한 물로

소금물 가글도 수시로 해주었어요.

 

1주일이 된 지금,

목은 많이 나아진 것 같은데

아직 콧물과 가래, 두통이 좀 있어요.

 

잘 때는 상체를 베개에 기대서

조금 높게 자니 코가 많이 막히지는 않아서

잠을 덜 깨고 잘 수 있었어요.

 

열 체크도 계속 하고 있는데

다행이 열은 계속 정상이여서

며칠 더 참아봐야겠어요!

 

저의 부주의로 괜히 감기 걸려서 삼성이한테

안좋은 영향 있으면 어쩌나 걱정이네요 ㅠㅜ

감기로 고생하는 임산부분들

모두 힘내세요!!! :)

 

 

728x90
반응형

댓글